Contact    
한국신문사설선집 2권, 대한매일신보 1909
 

2003-04-01 

2002년 4월 세미나 기록

 

일시 : 2002년 4월 13일 (토) 오후  3시 7시
장소 : 서울대 동원생활관 3층 회의실
참석 : 하영선, 최정운, 장인성, 박지향, 김영호, 김용직, 손열 
독회내용 : 『한국신문사설선집』2 권, <大韓每日申報> 1909

 


 

주요 토론 내용

 

장인성 교수 발제내용
- 개관. 합방 직전이라 긴박한 분위기 느낄 수 있음. 국가의 위기에 대한 인식, 애국심 강조. 일진회 관련 기사 많음. 1909년 2월, 미국의 한인단체 3개 통합 기사. 4월, 일본에 의한 경찰권 박탈. 5월, 베델 사망. 7월, 일본 각의회에서 한일합방에 대한 정책 공식적으로 확인. 10월, 안중근, 이토 히로부미 사살. 12월, 일진회, 한일합방성명서 발표. 1910년 2월, 일본정부, 한국병합 방침을 일본 내 외국공관들에 전달. 8월, 한일합방.

- 발제문 참조. 애국심/ 국가·국민·국기/ 일진회와 합방론/ 유교개신론/ 번역 등의 문제가 거론되고 있음. emblem에 대한 의식이 지금과 달랐음. 개화기 교과서를 볼 필요 있음. 이 시기 '학부' 제도의 활동과 성격 고찰 필요. 루소가 상당히 주목받은 듯. 미국 한인회가 통합한 데 반해 한국내 사회단체들의 분열상 통탄. 번역의 기준이 무엇이었는가.

 

최정운 교수

'소년'이란 상징어가 한국에 최초로 들어온 것이 언제일까? 서양에서도 상당히 근대적인 것인데. 루소로부터 나왔다고 봐야.

 

김용직 교수

동양에도 <소학>이 있었는데 반드시 서구근대적이라고 할 수 있나.

 

최정운 교수

객체가 아닌 상징적 주체로서의 '소년'은 근대적.

 

김영호 교수

실력양성론에서 주장한 준비와 관련.

 

김용직 교수

기성세대에 대한 비판의식의 발로로 보이기도 함.

 

장인성 교수

이 당시 '국수(國粹)'라는 것을 매우 당연하게 옳게 받아들이는데, '국수'의 의미가 무엇이었을지? 국가의 정수를 무엇으로 봤는가?

 

박지향 교수

서구주의자들에 대한 반대로서 1890년대에 등장.

 

장인성 교수

후쿠자와 유키치 등이 처음 썼을 때에는 상당히 중립적이었고, 그렇게까지 배타적이지 않았음. 그러다가 군국주의 시절로 넘어가면서 바뀜.

 

하영선 교수

1908년 8월 12일자 논설에서 '국수'란 무엇인가를 논하고 있음. 일본이 생각하는 '국수'와는 다분히 다를 거라고 봄. 우리의 '국수'에 대한 정의는 전통에 상당히 방점이 찍혀 있음.

최정운 교수

이미 신채호가 뛰고 있던 시절임을 유의. 1908년에 신채호의 <독사신론> 나옴.

 

하영선 교수

이 당시 블룬츨리의 영향이 상당히 컸던 듯 한데, 이에 대한 연구들이 나와야 함.

 

장인성 교수

일본의 '국수'는 천황에로 수렴하는데, 국민국가형성 과정이라는 측면에서 조선의 '국수' 내용이 어떠한지는 좀더 고찰해봐야 하겠음.

 

김용직 교수

이 시기 사설들에는, 왕(순종)에 대한 언급은 없나?

 

장인성 교수

기대가 없다고 봐야.

 

최정운 교수

특기사항으로 이미 단군에 대한 논의들이 매우 활발하게 개진되고 있다는 점.

 

하영선 교수

"인민이 何其遇오" 등의 사설들이 왜 나오는가? 무엇을 바라고?

 

최정운 교수

을사조약 이후, 희망이 끊어지는 시점에야 비로소 민족주의가 나옴. 이 시기 사설 논지는 상당히 신채호적임. '자치'의 강조.

 

하영선 교수

상당 부분 실제로 신채호가 썼을 것.

 

장인성 교수

결론적으로, 상당히 희망이 없는 시기. 이미 일본이 국내에 들어와 있는 상태에서 애국 등등을 논하고 있음.

 

최정운 교수

1908-9년이 대한협회가 살아있던 때인가?

 

장인성 교수

대한협회는, 일진회가 한일합방 성명서 내던 시점에서 떨어져나옴.

 

하영선 교수

1910년 3월 논설에서, 유림가에서의 사상계 혁명 중요성 논하고 있음. 유교개신에 대한 주장. 박은식, 신채호 입장에서는 이미 신유학 세례를 받은 축이므로 답답했을 것. 이 당시 할 수 있는 유일한 것은 교육과 식산밖에 없는 상황에서 신문구독도 하지 않고 학교확장을 반대하는 유학자들에 대한 비판. 나라 망하는 것에 대한 비판 내지 비관/ 교육·식산·언론 이 두 가지가 이 시기의 주요 논지. 1910년 8월 22일 한일합방 조인. 총독부 기관지가 됨으로써 <대한매일신보> 운명을 마침.

 

다음 독회는 양계초의 <음빙실자유서>. 양계초의 자서전이 영어로 나와 있음. <사십자수>.


 

   

lis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