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ontact    
한국외교사연구회 2019년 4월 정례모임
 

2019-04-20 

한국외교사연구회 20194월 정례모임

 

 

일시: 2019.4.20.() 3:30-6:00pm

장소: 한국고등교육재단 회의실

 

 

1. 논문 발제 및 토론

 

1) 이성시, <동아시아 세계론의 실천과 이론: 유동하는 고대> (2019, 에디투스)

-        발제: 김수암

 

<동아시아 천하질서와 한국의 생존전략사> 중간원고 발표

2)     전재성, "고구려의 제국 체제 정비와 대외전략: 광개토대왕 전후 시기"

3)     이헌미, "7세기 신라의 삼국통일과 한중외교"

 

 

2. 토론 내용 정리

 

1) 이성시, <동아시아 세계론의 실천과 이론: 유동하는 고대> (2019, 에디투스)

 

n 이성시의 비판: 일본 역사학계 맥락의 문제의식에서 시작, 태평양전쟁 이전의 일본과 동아시아세계론의 관계가 일본 학자들의 논의에서 빠져있음

-        우리의 문제의식은? 국가적 단위의 생존과 평화를 위해 제국/강대국과의 공존은 한국에게는 역사적 상수

n 고이즈미-하토야마 시기 일본이 주장하고 한중에서도 유행하던 동아시아공동체론의 재흥의 가능성은? 일본의 레토릭이었던 것인가? 현재의 일본은 완전히 인태 지향

-        니시지마의 동아시아세계론도 일본의 레토릭인 측면. 일본은 사실 책봉조공을 제대로 받은 적이 없었는데 역사적으로 동아시아에서 일본의 위치를 확보하고자 한 의도? 지금도 동아시아보다는 미국과 협력

n 아태’, ‘인태’, ‘동아시아’, ‘동북아시아중 우리는 어느 컨셉을 써야할까? 우리 책의 모델링은?

 

2) 중간원고 발표: 전재성, "고구려의 제국 체제 정비와 대외전략: 광개토대왕 전후 시기"

 

n 양자질서와 지역질서의 일치?

n 고구려는 우리가 스스로 (팽창적) 제국을 칭한 특수한 사례

n 고구려의 지정학적 위치 – ‘요동역사공동체론참고

 

3) 중간원고 발표: 이헌미, "7세기 신라의 삼국통일과 한중외교"

 

n 양자동맹이지만 당 입장에서는 동아시아 전체 차원에서 생각했을 것. 통일왕조로서 당의 제국전략은? 삼국통일이 가능하기까지 당의 대외전략과 신라의 생존전략이 어떻게 맞아떨어졌는가?

n 삼한일통론의 출현 시기에 대한 최근 학계의 논의: 7세기 전쟁 이후 나타난 것으로 추정

n 사대자주가 모순이 아니라 병립되는 속국자주가 후대에 제도로 정착하기 전 원형이 형성될 때에 전쟁의 역할 상호 간에 저항력을 확인하고 타협하게 되는 과정

 

 


   

lis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