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ontact    
한국외교사연구회 2018년 6월 정례모임
 

2018-06-09 

한국외교사연구회 201806월 정례모임

 

 

일시: 2018.06.09.() 3:30-6:00pm

장소: 동아시아연구원 (EAI) 대회의실

 

 

1. 논문 발제 및 토론

 

Sixiang Wang, “Co-constructing Empire in Early Choson Korea: Knowledge Production and the Culture of Diplomacy, 1392-1592,” Columbia University 박사학위 논문, 2015.

서문 – 1: 주연정 발제                                   4-5: 손병권 발제

2-3: 이헌미 발제                                           6결론: 노가연 발제

 

 

2. 토론 내용 정리

 

n Ann Stoler 등 인용, 역사학적 인류학/인류학적 역사학의 느낌. 세계 학계에서 제국 논의를 서도하고 있는 게 인류학계. Subalternagency를 강조하는 경향과 같은 흐름을 볼 수 있음.

 

n Co-construction이라고 했는데 명의 입장에서는 조선과의 관계에서만 co-construct가 된 건 아닐 것. 정치학적/제도적 개념에 국한되지 않은 flexibleempire 개념을 사용한 듯.

 

n 조선이 symbolic manipulation의 전략이 있었다면 그것은 어디서 나왔나? 설계자는? 무의식적 기원은? 고려 등에서 전통이 있는가? 조선 또한 명에 대해 일관적인 전략관이 있었다고 볼 수 있나?

-        수양대군의 사례는 단일행위자로서 확실히 전략적인 측면을 볼 수 있음. 그러나 창화외교의 사례는 기제가 관행/전통/패턴으로 내재화 되어 연속성,관성의 느낌이 있음.

 

n 세종이 대명 사대외교(사대 as 전략)의 틀을 수립

 

n 저자가 제국담론의 폭력성에서 벗어나고자 하여 제국이라는 단어의 개념사적 접근에서 시작한 것은 좋은 자세 답은 충분히 제시되지 못함

 

n 명을 대하는 조선 사대부들의 심정은?

-        조선인들이 한문을 훈련할 때는 cultural identity formation이나 단순히 제국을 타파하고자 하는 것보다 더 큰 그림이 있었을 것. 당시로서는 일단 동등한 룰의 게임이 성립되었다는 것도 중요하고 그 룰에 의해 서로 골을 넣으려고 경쟁하는 것도 중요

-        상대방보다 잘한다’ + ‘상대와는 다르다2중적 게임

 

n 저자가 결론에서 제시하는 명청교체기의 사례를 명초,청말의 조중관계와 비교해보면, 명초-청초,명말-청말에 한반도의 안보상황이 유사하게 반복되는 것을 볼 수 있음. 제국왕조의 흥망/변화를 상수 또는 변수로 설정하며 병치/비교가 가능할까? 외부 압력이 있을 때 규범은 밀려나는가?

-        Discursive violencepresentism은 피해야 종래의 논의에서 국내정치 또는 국제정치 변수 하나를 너무 확대 해석하는 경향 근대적 nation-state의 맥락에서 벗어나야

 

 


   

list